[카락아랍어문법] 아랍어 발음 팁(단축발음, 보조모음 등)

2021. 5. 23. 13:28카락아랍어문법

반응형
모바일에서 발음 기호가 잘 보이지 않고 네모로 표시된다면 컴퓨터로 봐주세요~ :) 모바일 보다 컴퓨터로 보는게 더 깔끔하게 잘 보인답니다~~

 

1. ن

 

ن 은 그 다음에 오는 ر , ل , م 등과 동화되어 샷다(  ّ )를 써서 나타내고 ن 은 발음되지 않는다. 

 

min - rabbihi (x)   mir - rabbihi (o)    مِنْ رَبِّهِ

min - lailatin (x)   mil - lailatin (o)   مِنْ لَيْلَةٍ

  min - man (x)   mim - man (o)    مِنْ مَنْ

그래서 이걸 مِمَّنْ 이렇게 줄여서 쓰게 됨.

 

 

혹은 다음과 같이 결합되어 사라진다. 

 

مِنْ مَنْ ← مِمَّنْ

민 만 (x) 밈만 (ㅇ)

من ما ← مِمَّ

민 마 (x) 밈마 (ㅇ)

عن ما ← عَمَّ

안 마 (x) 암마 (ㅇ)

عَن مَا ← عَمَّا

안 마 (x) 암마 (ㅇ)

أَن لا ← ألّا

안 라 (x) 알라 (ㅇ)

 

 

2. ت

ث , د , ذ , ط , ض 등이 뒤에 오는 ت 에 동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 변화는 샷다 (  ّ ) 로 나타낸다.

 

لَبَثْتَ ←  لَبَثتَّ

أَخَذْتُ ← أَخَذتُّ

لَحَظْتَ ← لَحَظتَّ

وَجَدْتُ ← وَجَدتُّ

خَبَطْتَ ← خَبَطتَّ

 

 

 

 

3인칭 여성단수 완료형 تْ-َ 는 함자툴와쓸 앞에서 보조모음 -ِ 를 첨가한다. ★★★★★

 

درستِ الطالبةُ

그 여학생은 공부했다

다라싸트 앗따-ㄹ리바 (x) 다라싸틷 따-ㄹ리바 (ㅇ)

 

 

 

3. 함자툴 와쓸 ★★★★★

 

함자툴 와쓸은 다음의 경우에 쓰이는데 단어가 맨 앞에 오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앞 단어와 연결해서 발음한다.

 

1. 정관사 ال

2. 관계대명사

3. 1,7,8,9,10형의 명령형

4. 7형 이상의 완료형, 동명사형

5. 7개 명사

 

 

قَدِ انْبَسَطْنَا مِنَ انْكِشَافِ هذِهِ الدَّرَاهِمِ

우리는 이 디르함들이 드러남(모습을 보임)에 흡족해했었다.

(قد 와 من 에 보조모음이 붙었다.)

발음 : 까딘바싸뜨나 미난키샤-피 하디힏다라-힘

 

أيْنَ اِحْتِرَامُ الآباءِ والأُمَّهاتِ

아버지들과 어머니들에 대한 존경은 어디 있는가

발음 : 아이나흐티라-물 아-바이 왈움마하-ㅌ

 

 

 

 

다음 단어들의 함자툴 와쓸은 발음하지 않는다. (함자툴 와쓸 중 7가지 명사에만 해당)

7 단어 : اثنان , اثنتان , اسم , ابنة , ابن , امرأة , امرؤ (남자 - 여자 - 아들 - 딸 - 이름 - 둘(여성형) - 둘(남성형))

 

 

مَا اِسْمُ هذا الطَّعامِ

발음 : 마 이쓰무(x)  마쓰무(o)

 

 

 

함자툴와쓸 앞에 오는 단어가 모음을 갖지 않은 자음으로 끝나면 보조모음 -ِ 를 첨가한다.

 

درستْ الطالبةُ ← درستِ الطالبةُ

그 여학생은 공부했다

다라싸트 앗따-ㄹ리바 (x) 다라싸틷 따-ㄹ리바 (ㅇ)

 

قَدْ اجتَمَعَ ← قَدِ اجتَمَعَ

(까디 즈타마아)

 

هُوَ ذَاهِبٌ الْيَومَ

(후아 다-히분 일야우마)

(이 경우는 모음이 있지만 발음 편의상 -ِ 발음을 넣은 경우)

 

 

 

هم / أنتم / تم / كم / لستم 은 함자툴와쓸 앞에서 보조모음 -ُ 를 갖는다.

 

هُمُ الأساتذةُ

(후물 아싸-티다)

 

أُسْتَاذُكُمُ الجديدُ

(우쓰타-다쿠뭊 자디드)

 

أَنْتُمُ الطلابُ

(안수묻 뚤라-ㅂ)

 

 

 

مِنْ / مَنْ / هَلْ / مُذْ 이 함자툴 와쓸 앞에서 보조모음을 갖으면  مِنَ / مَنِ / هَلِ / مُذُ 이 된다.

 

مِنَ المُديرِ

그 실장으로부터

(미날 무디-르)

 

مَنِ الطَّالبُ

이 학생은 누구야?

(마딛 따-ㄹ립)

 

هَلِ الرَّئيسُ في مكتبِهِ؟

대통령은 그의 사무실에 있나요?

(하리ㄹ라이-쑤 피 마크타비히)

 

 

 

 

 

يْ-َ 와 وْ-َ 같은 이중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함자툴와쓸 앞에서 يِ-َ 와 وُ-َ 로 쓰지만

لَوْ (만일), أَوْ (또는) 은 예외로 لَوِ (lawi) , أَوِ (awi) 가 된다.

 

 

 

 

لِ 뒤에 정관사 ال 이 오면 ا 는 사라진다.

 

لِ + الولدِ = لِلولدِ

발음 : 릴 왈리디

 

 

و اَلْ 의 발음은 '와 알' 이 아닌 '왈'. 그 이외에도 정관사 ال 은 바로 앞에 오는 발음과 이어 읽는다.

 

 

4. 문장 끝에서의 발음변화

문장 끝의 단모음은 생략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라아이투 - ㄹ말맄)   رَأَيْتُ الْمَلِكَ

(카-디무 - ㄹ말맄)   خَادِمُ الْمَلِكِ

(좔라싸 - ㄹ말맄)   جَلَسَ الْمَلِكُ

 

 

 

ة 는 문장 끝에서는 발음되지 않는다. 

 

(알리-후 샤디다)   أَلْرِّيحُ شَدِيدَةٌ

(알빈탖 좌미-ㄹ라)  اَلْبِنْتَ الْجَّمِيلَةَ

(필야딧사기-라)   فِي الْيَدِ الْصَّغِيرَةِ

 

 

 

in( -ٍ ) 과 un( -ٌ )은 문장의 끝에서 발음되지 않지만, in( -ٍ )은 때때로 세번째 어근을 되찾기도 한다

(별로 중요하지 않으니 가볍게 알아두기)

 

فِي بَيْتٍ صَغِيرٍ

( 피 바이틴 사기-르)

 هُوَ مَلِكٌ عَظِيمٌ

(후와 말리쿤 아디-임)

 فِيهِ مَعَانٍ

(피히 마아-닌)

 

 

 

( ا -ً )은 그대로 발음되나 때로는 장모음 aa 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 

 

هِيَ جَمِيلَةٌ جدًا

(히야 좌미-일라툰 짓단) (히야 좌미-일라툰 짓다-)

ضَرَبَ طَالِبًا

(다라바 따-ㄹ리반) (다라바 따-ㄹ리바-)

هُمُ اجْتِمَعُوا جَمِيعًا

(후무 즈티마우- 좌미-안) (후무 즈티마우- 좌미-아-)

 

 

 

 

 

 

 

5. 액센트

장모음이 2개일 때 : 뒤에 나오는 장모음에 액센트를 둔다. 

 

ُبَسَاتِين

바싸-티-ㄴ (x)  바싸티-ㄴ (ㅇ)

 

جَامِعَات

좌-미아-ㅌ (x) 좌미아-ㅌ (ㅇ)

 

 

 

 

 

6. 응용

 

따라서 발음은 "릴 이즈티마-이" 가 아닌 "릴 리즈티마-이" 가 된다.

 

 

 

발음 : 일라 린티사-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