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1. 24. 17:00ㆍ갤러리&글
1. 석유수출로부터 획득한 부가 정부와 국민과의 정치적 역학관계에 미친 영향을 Rentier State 이론에 입각하여 설명하시오.
- 랜티어 국가경제에서 렌트는 국가 경제발전의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국가는 국외로부터 얻은 렌트만으로 경제를 지탱할 수 있으며, 대부분 국민들의 경제활동은 렌트의 분배와 소비에 관여한다. 걸프 국가들은 이러한 rentier state에 입각하여 국가를 운영하고 있다. 석유를 판매하며 얻은 막강한 부를 바탕으로 국민들의 불만을 잠재우면서 반민주적인 방식으로 국민들을 통치한다. 정부는 국민에게 세금을 부과하지 않음으로써 정치적 침묵과 지지를 얻어내고, 집단에 특혜를 제공함으로써 집단의 충성을 얻어내고, 정부의 다양한 복지혜택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2. 2014년 하반기 이후 시작된 저유가의 원인과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의 시장점유율 유지 전략 채택의 배경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2014년 하반기 이후 국제유가 하락의 원인은 ① 원유공급량 증대 ② 원유수요 증가세 둔화 ③ 달러화 강세 등의 영향에 기인한 것이다. 당시 저유가의 주범은 공급과잉이다. 2014년 석유시장은 비OPEC, 그 중에서도 미국의 생산 급증으로 인한 초과공급 발생으로 저유가 터널로 진입했다. 이에 2017년 OPEC은 사우디 주도로 석유 감산에 합의했고 비OPEC국들도 석유생산 축소에 동의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1980년대부터 유지해오던 쿼터제를 통한 점유율을 포기하고 가격을 유지하는 방법을 찾았다.
3. 자유시리아군을 바라보는 미국과 러시아의 서로 다른 시각에 대하여 언급하고 한 단체를 두고 이 같이 다른 견해를 갖는 이유를 ‘테러리즘’의 정의와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 테러리즘은 대상을 다른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을 방해하고 우리 사회에 개인적,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정치적인 용어이며 중립을 반영하지 않은 용어이다. 미국에게 있어 테러리즘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해관계에 반하는 사상이나 행위 등을 의미한다. 미국은 이라크 남부의 석유지대를 보호해야 했고, 이를 노리는 ISIS와 같은 알카에다 계열이 반군의 주도권을 차지하여 반군의 승리가 우방 이스라엘의 안보를 위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자 직접 시리아 내부의 반군 단체들(자유시리아군)을 지원했다.
- 러시아는 시리아를 지나는 파이프라인에 대한 돈을 이미 시리아 정부에 지불한 상황이기 때문에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한다. 한편 미국은 시리아 내의 러시아의 영향력을 견제하고자 하며, 동맹국인 이스라엘이 중동지역 내에서 영향력을 유지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시리아 정부를 지목하였다.
4.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에서 얘기하는 주요내용과 그 한계점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은 하나의 이론과 지식체계로 굳어진 '동양에 대한 서구의 왜곡과 편견'을 의미한다. 원래 '오리엔탈리즘'은 단순히 동양학을 의미했으나, 사이드가 이 용어를 동양에 대한 서구의 전형(stereotype)화의 의미로 사용함에 따라 다분히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용어가 되었다. 사이드에 의하면, 서구 제국주의는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동양을 신비화한 다음, 동양을 탐험하고 지배하며 착취해왔다. 유럽은 이질적인 오리엔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민족학. 해부학. 문헌학. 역사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이용하였으며 이런 상대적 관점에서 유럽은 항상 강자의 지위를 유지하려 하였다. 즉, 오리엔탈리즘이란 동양을 지배하고 재구성하며 억압하기 위한 서양의 스타일이며 이를 통해 정치적. 사회적. 군사적. 이데올로기적. 과학적으로 동양을 관리하려 들었다.
5. 이슬람 발흥 당시 메카의 사회적, 경제적, 국제 정치적 상황에 대해 언급하고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로 이주한 이후 624년 기도 방향을 예루살렘에서 메카로 바꾼 종교의식 변화의 배경과 그 의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이슬람 발흥 당시 메카는 상업 중심지였으며, 카바 신전에는 수많은 우상들이 존재했다. 상업과 종교관광을 통해 큰 부를 쌓을 수 있었으며 당시 빈부격차로 인해 사회적인 타락이 팽배했다. 당시 유대인들이 메디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들에게 인정받고 싶었던 무함마드는 기도 방향을 그들과 같은 예루살렘으로 설정한다. 하지만 이후 무함마드의 세력이 확대되면서 더 이상 유대인들의 지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때문에 독자적인 이슬람만의 전통이 필요로 했다. 따라서 기도방향을 메카로 바꾸게 된다.
'갤러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던지면서 배우는 중동상식 리흘라 (0) | 2023.01.01 |
---|---|
단국대학교 2022년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미션 임파서블을 해내다 (1) | 2023.01.01 |
아랍의 음식 (작성중) (0) | 2022.08.19 |
[한국어가제일어려워] 로써와 로서 구분 (0) | 2022.05.28 |
애증의 아랍어와 함께하는 카락라이프 (1) | 2022.05.28 |